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플러터앱개발공부
- OpenWeatherApi
- BottomTabBarNavigator
- 화면이동
- Flutter
- 면접을위한CS전공지식노트
- RectQuery
- 딥러닝
- 웹해킹
- 데이터베이스의기본
- Navigation
- ReactNative
- 앱개발공부
- 플러터공부
- react
- 알고리즘
- tabBarBadge
- 선언형프로그래밍
- 정보보호
- 플러터
- 하단탭바알림
- date-fns
- 명령형프로그래밍
- 앱개발
- 날짜포맷팅
- BottomTabNavigation
- 플러터앱개발
- Flutter공부
- Object~
- 모두의딥러닝
- Today
- Total
기록하기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본문
데이터베이스
일정한 규칙, 혹은 규악을 통해 구조화되어 저장되는 데이터의 모음이다. 해당 데이터베이스를 제어, 관리하는 통합 시스템을 DBMS라고 하며, 데이터베이스 안에 있는 데이터들은 특정 DBMS마다 정의된 쿼리 언어를 통해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을 수행할 수 있다.
DBMS : DataBase Management System
엔터티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개념 등 여러 개의 속성을 지닌 명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회원이라는 엔터티가 있다고 가정 하면..? 회원은 이름, 아이디, 주소, 전화번호의 속성을 가질 것이다.
서비스의 요구 사항에 맞춰 속성이 정해진다. 예를 들어 주소라는 속성이 서비스의 요구 사항과 무관한 속성이라면 주소라는 속성은 사라지게 된다.
릴레이션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구분하여 저장하는 기본 단위이다. 엔터티에 관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는 릴레이션 하나에 담아서 관리한다.
릴레이션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는 '테이블'이라고 하며, NoSQL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컬렉션'이라고 한다.
레코드가 쌓여서 테이블이 되고 테이블일 쌓여서 데이터베이스가 되는 것!
속성
릴레이션에서 관리하는 구체적이며 고유한 이름을 갖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차'라는 엔터티의 속성을 뽑는다고 생각해보자. 차 넘버, 바퀴 수, 차 색깔, 차종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 속성들만 엔터티의 속성이 된다.
도메인
릴레이션에 포함된 각각의 속성들이 가질 수 있는 값의 집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성별이라는 속성이 있다면 이 속성이 가질 수 있는 값은 남, 여 라는 집합이 된다.
성별에는 {남, 여}라는 도메인을 가진다!
데이터베이스의 관계
데이터베이스에 테이블은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여러 개의 테이블이 있고 이러한 테이블은 서로의 관계가 정의되어 있다. 그러한 관계를 관계 화살표로 나타낸다.
1 : 1 관계
테이블을 두 개의 테이블로 나눠 테이블의 구조를 더 이해하기 쉽게 만들어 준다.
1 : N 관계
쇼핑몰을 예로 들면, 한 유저당 여러 개의 상품을 장바구니에 넣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1:N 관계가 된다. 물론 하나도 넣지 않는 0개의 경우도 있으니 0도 포함되는 화살표를 통해 표현해야 한다.
N : M 관계
학생과 강의의 관계를 예로 들어 봅시다. 학생도 강의를 많이 들을 수 있고 강의도 여러 명의 학생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럴 땐 N:M 관계가된다.
키
테이블 간의 관계를 조금 더 명확하게 하고 테이블 자체의 인덱스를 위해 설정된 장치로 기본키, 외래키, 후보키, 슈퍼키, 대체키가 있다.
(기본키, 외래키, 후보키는 들어 봤어도.. 슈퍼키, 대체키는 처음 듣는..)
슈퍼키는 유일성이 있고 그 안에 포함된 후보키는 최소성까지 갖춘 키이다. 후보키 중에서도 기본키로 선택되지 못한 키는 대체키가 된다. 유일성은 중복되는 값이 없고, 최소성은 필드를 조합하지 않고 최소 필드만 써서 키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기본키
Primary Key는 줄여서 PK 또는 프라이머리키라고 많이 부르며, 유일성과 최소성을 만족하는 키이다. 테이블의 데이터 중에서 고유하게 존재하는 속성이다.
자연키 : 유저 테이블을 만든다고 가정하면 주민등록번호, 이름, 성별 등의 속성이 있을 것이다. 이 중 이름, 성별은 중복된 값이 들어올 수 있으므로 부적절하고 남는 것은 주민등록번호이다. 이런 식으로 중복된 값들을 제외하며 중복되지 않는 것을 자연스럽게 뽑다가 나오는 키를 자연키라고 한다. 자연키는 언젠가는 변하는 속성을 가진다.
인조키 : 유저 테이블을 만든다고 햇을 때 회원 테이블을 생성한다고 가정하면 주민등록번호, 이름, 성별 속성이 있을 것이다. 여기에 인위적으로 유저 아이디를 부여한다. 이를 통해 고유 식별자가 생겨난다. -> 인위적으로 생성한 키를 인조키라고 한다. 자연키와는 대조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그래서 보통 기본키는 인조키로 설정한다.
외래키
Foreign Key는 FK라고 하며, 다른 테이블의 기본키를 그대로 참조하는 값으로 개체와의 관계를 식별하는데 사용한다.
후보키
기본키가 될 수 있는 후보들이며 유일성과 최소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키이다.
대체키
후보키가 두 개 이상일 경우 어느 하나를 기본키로 지정하고 남은 후보키들을 말한다.
슈퍼키
각 레코드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유일성을 갖춘 키이다.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siumJS] CesiumJS에 대하여 알아보자 (0) | 2023.09.21 |
---|---|
다이나믹 프로그래밍, 최단 경로, 그래프 알고리즘 개념 정리 (0) | 2023.09.13 |
[면접을 위한 CS전공지식 노트] ERD와 정규화 과정 (0) | 2023.07.24 |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디자인 패턴 (0) | 2023.07.19 |
error: failed to push some refs to ~ (git 오류) (0) | 2022.05.23 |